약리학 이뇨 이뇨제(Diuretics)는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 배출을 증가시켜 체액량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주로 고혈압, 심부전, 부종, 신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며, 체내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뇨제는 작용 부위와 기전에 따라 티아지드계, 고리형(loop), 칼륨 보존성 이뇨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적응증이 다릅니다.그러나 전해질 불균형, 탈수, 저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의미와 기능
이뇨제(Diuretics)는 소변 생성을 증가시켜 체내 수분과 전해질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이뇨제(Diuretics) | 체내 수분과 나트륨 배출을 촉진하는 약물 |
나트륨 배설(Natriuresis) | 신장에서 나트륨 배출 증가 |
칼륨 배설(Kaliuresis) | 신장에서 칼륨 배출 증가 |
체액 조절(Fluid Balance) |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 |
주요 기능
혈압 조절 | 혈액량 감소로 혈압을 낮추는 효과 |
부종 완화 | 체액 저류로 인한 부종(신부전, 심부전, 간경화 등) 치료 |
신장 기능 조절 | 신장의 여과 기능을 개선하고 체액 배출 증가 |
약리학 이뇨 소변량을 증가
약리학 이뇨 이뇨제는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 배설을 증가시켜 소변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신장에서의 작용 부위와 기전
근위세뇨관 | 나트륨과 수분 재흡수를 억제 | 탄산탈수효소억제제(아세타졸아미드) |
헨레고리(Loop of Henle) | 강력한 나트륨 배설 효과 | 고리형 이뇨제(푸로세미드) |
원위세뇨관 | 중등도의 나트륨 배설 효과 | 티아지드 이뇨제(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
집합관 | 칼륨 배설 억제, 부작용 감소 | 칼륨 보존성 이뇨제(스피로노락톤) |
과정
- 이뇨제 복용 → 신장에서 나트륨 배설 증가
- 삼투압 증가 → 체액 배출 증가 → 소변량 증가
- 혈액량 감소 → 혈압 하강 및 부종 완화
약리학 이뇨 종류와 특징
약리학 이뇨 이뇨제는 작용 부위와 효과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계열
티아지드계(Thiazide) | 원위세뇨관 | 중등도 효과, 장기적인 혈압 조절 |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HCTZ) |
고리형(Loop) | 헨레고리 | 가장 강력한 이뇨 효과 | 푸로세미드(라식스) |
칼륨 보존성(Potassium-Sparing) | 집합관 | 칼륨 배설 억제, 부작용 감소 | 스피로노락톤 |
탄산탈수효소억제제(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 근위세뇨관 | 대사성 알칼리증 치료 | 아세타졸아미드 |
삼투성(Osmotic) | 전반적 | 응급 상황에서 빠른 체액 제거 | 만니톨 |
비교
효과 강도 | 중간 | 강함 | 약함 |
나트륨 배설 | 중간 | 매우 강함 | 적음 |
칼륨 배설 | 증가 | 매우 증가 | 감소 |
적응증 | 고혈압, 심부전 | 심한 부종, 신부전 | 저칼륨혈증 예방 |
약리학 이뇨 적절한 사용법
약리학 이뇨 이뇨제는 올바르게 사용해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권장 복용량과 시간
티아지드계 | 12.5~25mg/일 | 아침 |
고리형 | 20~80mg/일 | 필요 시 |
칼륨 보존성 | 25~50mg/일 | 아침 또는 저녁 |
올바른 사용법
- 오전 복용: 저녁 복용 시 야뇨증 유발 가능
- 칼륨 균형 유지: 칼륨 배설 증가 시 바나나, 감자 섭취
- 수분 섭취 조절: 지나친 탈수를 피하기 위해 적절한 수분 공급 필요
조심해야할점
이뇨제는 전해질 불균형, 탈수, 신장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저칼륨혈증 | 칼륨 배설 증가로 근육 경련, 피로 유발 | 티아지드, 고리형 |
고칼륨혈증 | 칼륨 축적으로 심장 부정맥 유발 | 칼륨 보존성 |
탈수 | 과도한 수분 배출로 어지러움 발생 | 모든 이뇨제 |
신장 기능 저하 | 신장 혈류 감소로 기능 악화 | 고리형 |
여러연구들
조합
- 환자 맞춤형 이뇨제 조합 연구
신장 보호형
- 신장 부담을 줄이는 새로운 이뇨제 연구 진행 중
스마트 이뇨제
- 표적 장기에만 작용하는 스마트 이뇨제 개발
마치며
약리학 이뇨 이뇨제는 체내 수분 균형을 조절하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을 고려한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AI, 신장 보호형 이뇨제, 맞춤형 치료 등을 통해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이뇨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